content="user-scalable=no, initial-scale=1.0, maximum-scale=1.0, minimum-scale=1.0, width=device-width"> 프로이트의 정신 분석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프로이트의 정신 분석

by 작달비100 2024. 7. 20.

미술사에 대한 정신분석적 연구는 미술 작품의 무의식적 의미를 우선으로 다룬다. 이 복합적인 방법은 미술 자체만 아니라 미술가, 관객의 미적 반응, 문화적 맥락을 포괄한다. 이 방법론은 도상학이나 페미니즘, 마르크스주의, 기호학 등과 부분적으로 결합한다. 미술가의 정신적 성장을 그의 예술과 관련지어 조사하는 심리 분석적 전기(psycho biography) 또한 정신분석적 방법론의 한 형태이다. 미술사와 정신분석은 분명히 구분되는 분야이지만 공통점이 많이 있다. 두 분야 모두 이미지의 힘과 그 이미지의 상징적 의미에 관심이 있고 창조의 과정과 그 산물에 관심이 있으며 역사와 관계가 있다. 미술작품이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꿈, 백일몽, 환상, 농담, 신경증의 증후 등도 이미지를 갖는다. 이미지를 해석하는 것은 정신분석이나 미술사 양쪽에 모두 중요한 일이다.

1. 몇 가지 기초 개념 

프로이트(1921년)

 

프로이트가 정신분석학을 발전시켰을 때 그는 그것이 문화에 적용된다는 점을 충분히 인식하고 있었다. 일찍이 186년, 그는 그것이 문화에 적용된다는 점을 충분히 인식하고 있었다. 일찍이 1896년 그는 정신분석의 임상 절차를 고고학과 비교하고 "바위들이 말한다 Saxa loquuntur!"라고 선언했다. 정신분석학자는 고고학자처럼 과거 속에 매장된 자료들을 찾는다. 고고학자는 물리적인 장소를 파내고, 깨진 도기나 폐허가 된 건물들 같은 고대의 단편들을 발굴하고, 또한 후대의 잔해를 제거함으로써 그 일을 한다. 정신분석학자는 파편적인 꿈이나 기억 같은 정신적 삶의 유물을 찾아내어 그것을 개인의 어린 시절의 삶과 연결 짓는다. 고고학자와 정신분석학자는 정신적인 파편들을 성 심리적(psychosexual) 발달단계와 연결 짓는다. 

 

앙리 루소 <꿈> 1910, 뉴욕 현대미술관

 

새로운 고고학적 발견 하나하나가 역사를 교정하게 하듯이 정신분석에서 꿈과 기억과 환상은 개인의 유년기에 새로운 빛을 던진다. 프로이트는 유일하게 알려진 역사 속의 자기분석을 시작하면서 자신의 유년기에서 발견한 것을 하인리히 슐리만(Heinrich Schliemann)의 트로이 발굴과 비교했다. 한참 후인 1931년, 그는 애초에 생각했던 대로 여자아이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는 남자아이와 다르다는 것을 확인했다. 그는 이러한 통찰을 아서 에반스(Sir Arthur Evans)가 20세기 초까지 신화로만 알려졌던 미노스 문명을 발견한 것에 비유했다. 정신에 대한 프로이트의 고고학적 은유는 과거와 현재 사이의 역동적 관계를 전제로 하는 것으로 그의 저술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그가 1910년에 쓴 레오나르도 다 빈치에 대한 심리 분석적 전기는 이 장르 최초의 글로서 성인 예술가의 행동만 아니라 그의 그림과 글을 유년기의 발달단계와 연결 짓는 프로이트의 탁월한 능력을 보여준다. 꿈은 프로이트가 1900년 이전에 발견한 메커니즘으로 이를 해석하기 위해서는 필히 꿈꾸는 사람의 유년기와 연결해야 한다. 프로이트는 꿈이란 금지된 욕구를 숨기는 데 사용되는 재현력(represent ability), 전치(displacement), 응축(condensation), 상징화(symbolization)의 네 가지 메커니즘에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 정의했다. 프로이트는 이 모든 메커니즘이 해석되면 꿈은 "무의식으로 가는 왕도"가 된다고 했다. 

2.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프로이트가 주장한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는 태어나면서부터 정해 진 정신 구조이다. 그것은 유아의 발달에서 핵심을 이류며 신경증의 요인이 된다.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설명하기 위해 프로이트는 소포클레스의 비극 <오이디푸스왕>을 문자적 텍스트로 삼았고 자기분석을 자서전의 텍스트로 삼았으며 그가 30년 넘게 환자의 얘기를 듣고 얻은 축적된 경험에서 임상실험의 텍스트를 얻었다. 그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이론을 점진적으로 만들어 갔으며 새로운 데이터를 수집함에 따라 그 이론을 변경시켰다. 남자아이에 관한 이 이론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 남아는 3세에서 5세 사이에 자기 어머니를 독차지 하고 싶어 하는데 이러한 독점은 아버지의 제거를 요하는 것이다. 그는 어머니를 소유한 아버지를 질투하고 또한 아버지로부터 보복을 당할까 봐 두려워한다. 아이의 환상 속에서 그의 아버지의 보복은 문자 그대로 동태복수법(눈에는 눈)으로 거세의 형태를 취한다. 그 때문에 남근기에 거세 콤플렉스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것이 프로이트가 설정한 첫 번째 구조인데 그는 이것을 '긍정적(positive)'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라고 불렀다. 

 

1923년 프로이트는 긍정적인 것에 반대되는 '부정적(negative)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에 대한 견해를 발표했다. 이즈음 프로이트는 이 콤플렉스의 양성애 적(bisexual) 성격과 남아는 또한 자기를 어머니와 동일시하고 아버지의 사랑을 받는 수동적인 대상이 되고 싶어 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 긍정적인 것과 부정적인 것은 유동적으로 작용하며 긍정적인 것이 우세할 때는 남아가 이성애자(heterosexual)가 된다. 부정적인 것이 우세하면 동성애자(homosexual)로 나타난다. 프로이트는 창조적인 사람들은 양성애자가 강해진다고 했다. 이를테면 예술가들이 자기 작품을 자식이라고 느끼고 자신을 작품을 낳은 어머니이자 아버지라고 여길 때 볼 술 있는 형상이다. 휘슬러가 그림을 그릴 때 남성적인 선과 여성적인 색채를 결합한다고 한 말은 적절한 예라고 할 수 있다. 또한 20세기 화가 조셉 앨버스(Joseph Alvers)는 하나로 혼합된 색은 그 속에 섞인 원래 색들의 자식이라고 설명했다. 조토는 자기 그림들을 자신의 아이들로 비유했고 미켈란젤로는 자식 대신 작품을 만든다고 했다는 유명한 일화가 있다. 

3. 미술가와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미술가들 사이에 오이디푸스 콤플렉스가 어떻게 작용하는지는 플리니우스와 바자르가 설명한 대로 가계도를 구성함으로써 쉽게 알 수 있다. 의식적으로 사고할 때 명확하던 개념들이 무의식에서는 서로 바뀔 수가 있다. 예를 들면 남서 신들, 왕들, 옛 미술가들, 미술 후원자들, 그리고 미술의 전통까지도 무의식에서는 비슷하게 체험할 수 있다. 왜냐하면 이들은 모두 일종의 전통적인 가부장적 권위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치마부에는 조토의 천재성을 알아보고 이 소년을 제자로 삼겠다고 그의 아버지에게 허락을 구했다. 치마부에보다 훌륭하게 된 조토는 명성을 얻음으로써 상징적으로 자기 아버지를 이기고 실제로 아버지보다 오래 살고 문학적으로도 더 오래 기억에 남게 됨으로써 아버지를 능가한다.

 

플리니우스가 아펠레스를 평한 것을 보면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부차적인 양상들이 나타난다. 이 화가는 재능이 있어서 알렉산더 대왕과 친밀한 관계를 맺는다. 즉 아펠레스만이 왕의 초상화를 그리도록 허용받는다. 그는 또한 알렉산더의 애첩 판카스페를 얻는다. 이렇게 알렉산더는 왕과 후원자의 가부장적 역할을 담당하고 판카스페는 왕의 성적 대상으로서 어머니의 역할을 맡는다. 아펠레스는 상징적으로 '아버지'의 축복을 받으며 자신이 오이디푸스 적 환상을 충족하는 데 성공하는 소년인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