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user-scalable=no, initial-scale=1.0, maximum-scale=1.0, minimum-scale=1.0, width=device-width"> 교실에서의 미술교육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교실에서의 미술교육

by 작달비100 2024. 6. 20.

1. 창의적인 작품의 중요성 

어린이의 창작품에 대해서 연구할 때에는 먼저 작품을 연구하는 목적을 분명히 해야 한다. 어린이의 성장이나 관심, 그리고 경험과 정서에 대해 알아보려는 목적으로 어린이의 작품을 연구하려고 하는가? 아니면 어린이에게 그들의 장단점, 창의력, 실기 능력 등을 알려주려는 목적에서, 다시 말해 등급을 매기려는 목적으로 그들의 작품을 평가하려 하는가? 창작품의 의미를 논의하는 데 있어서 한 가지 중요한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그것은 어린이의 성장에 미치는 미술교육의 영향력이 매우 크다는 사실이다. 성인이 보기에 유치하고 미숙한 작품이 성인의 눈에 만족스럽게 잘 만들어진 작품보다 어린이에게는 더 의미 있을 수도 있다. 어린이가 교실에서 그림을 그리면서 자신을 발견하고, 자신을 억누르는 정서적인 장애를 제거하는 일을 흔히 볼 수 있다. 그런 과정을 통해 그 어린이는 자신의 창작품을 자신과 동일화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가 만든 작품은 미학적으로는 별로 의미가 없을 수도 있다. 어린이의 삶에서 그러한 변화가 어떠한 완성된 작품보다 훨씬 더 중요하다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어린이에게 단지 자기 작품의 서투름에만 관심을 갖게 하는 것은 자신감을 약하게 하며, 이전 단계로 퇴보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그것은 어린이의 관심을 작품의 완성으로만 돌리게 하여 어린이에게는 아무런 의미도 없고 생각할 수도 없는 작품의 질(quality)에 대해 생각하게 만들 수도 있다. 

 

2. 미술을 통한 성장의 이해

어린이의 창의적 작품을 오직 한 가지의 성장요인에 의해 평가하거나 창작품의 겉모양, 디자인의 질, 색상과 형태, 이것들의 상호관계 등 외형적인 미적 기준에 의해 평가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 성장이 단지 외형적 기준에 의해 측정될 수는 없기 때문에 이와 같은 실수는 창의적 작품뿐 아니라 어린이에게도 바람직하지 못하다. 미적 성장이 아무리 중요하다 핟라고 그것은 단지 어린이의 전체적 성장의 일부분 뿐이다. 그러나 미술은 전통적으로 주로 미적인 것과 관계있는 것으로 이해되어 왔기 때문에 이런 생각은 성장의 다른 요인들을 무시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미술 교육에 있어서 최종작품은 창조 과정의 부수적인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어린이의 전반적인 성장에 의미 있는 것은 이러한 과정이 가져다주는 효과이다. 또한 성장의 여러 구성 요인들을 동등하게 취급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어떤 어린이는 정서적으로 매우 자유롭지만 그의 사고방식과 감정 면에서는 별로 독창적이지 못하여 창의적이지 않을 수도 있다. 또 어떤 어린이는 매우 창의적이고 독창적이지만 미적 성장이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여 구성과 디자인에 대한 감각이 전혀 없을 수도 있다. 어떤 어린이는 창의적인 면에서나 미적인 면에서 많은 것을 갖추고 있으면서도 그의 신체적인 기능의 부족으로 자신의 창의적인 표현을 마음대로 하지 못하고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지적 성장이 다른 부분의 성장보다 뛰어난 어린이가 창의적으로 자신의 지능을 사용하는 데 방해를 받을 수도 있다. 

 

3. 재료와 기능의 중요성

기능(skill)이 매우 뛰어난 어린이라도 표현 방법이 그릇되거나 부적절한 것이면 오래되지 않아 실망을 느끼게 될 것이다. 발달단계가 낮을수록 적절한 재료의 선택에 대한 보다 많은 지도가 필요하다. 점차 발달단계가 높아지면서 어린이가 자신에게 맞는 매체를 선택하는 데 실험적인 태도가 보다 중요해지며 최종 작품에 대한 만족도 매우 중요해진다. 어린이가 자신의 표현에 맞는 재료를 사용하려는 욕구를 갖도록 지도하는 방법으로는 두 가지를 들 수 있다. 

1) 발달단계에 적당한 표현을 위해 일반적으로 알맞은 재료를 선택하는 방법

2) 개별적으로 재료를 사용하는 개별적인 선택 방법

개인이 자신의 경험을 표현하기 위해 재료를 사용하는 개별적 방법에서는 어린이에게 어떤 제시를 하기 전에 그 어린이의 의도(intention)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어린이의 의도가 그 매체의 사용에 부합되지 않으면 지도가 필요하다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예를 들어 어떤 어린이가 단조로운 색으로 '박람회'를 그리면서 소리를 표현할 수 없다는 이유로 불만스러워하고 있다면 색에도 소리가 있다는 것에 대해 서로 이야기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달리고 있는 것을 표현하고 싶어 하는 어떤 어린이가 고정된 윤곽선에 의해 모든 것이 둘러싸여 운동감이 부족하다고 불평하고 있다면 한정된 공간에서는 운동감이 제한될 수밖에 없다는 사실, 즉 윤곽선이 운동감을 제한한다는 사실을 어린이에게 이해시켜 주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개별지도는 항상 일반적인 특성의 범위 안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지도를 자신의 작품에 적용하는 것인 어린이 자신이어야 하기 때문이다. 

 

4. 창의적 작품의 평가

우리가 어린이가 아닌 그가 만든 작품에만 주로 관심을 기울인다면, 어린이와 그의 작품에 대한 진가를 제대로 인정하지 못하게 된. 표현하면서 자신을 억제하고 좌절감을 느끼는 어린이나 처음으로 자신의 경험을 미숙하게 표현하는 어린이는 이런 미술 활동의 중요성을 거의 보여주지 못하는 작품을 만들어낼 것이다. 어린이에게 있어서 미술 활동이 중요성을 거의 보여주지 못하는 작품을 만들어낼 것이다. 어린이에게 있어서 미술 활동은 더 이상 틀에 박힌 의미 없는 생활로 도피하지 않고 그 자신과 만나며, 그것을 자유롭게 표현하는 새로운 삶을 미숙하게나마 처음으로 시작하는 것이 될 것이다. 그러나 그 시작이 어렵다. 그 시작은 어린이가 이전의 표현 양식에서 육안으로는 거의 발견할 수 없는 조그만 탈피로부터 이루어진다. 하지만 이것이 어린이에게는 결정적인 첫걸음이 된다. 우리가 어린이의 이전 표현 양식을 알지 못하면 최종작품에서도 그것을 모르게 된다. 외부에서 중진 표준들은 단지 결과만을 다루며 개별적 존재인 어린이와 그가 지속해 온 창조 과정의 결과를 철저히 무시하는 것이다. 우리는 어린이의 진보 과정을 평가함으로써 적어도 어린이 그 자체를 대상으로 평가할 수 있다. 시간에 따라 계속 어린이의 작품을 비교함으로써 그들의 노력, 경험이 갖는 의미, 경험의 형상화, 매체 활용 능력 등에 관하여 어떤 결론에 도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고 해도 우리가 인간을 대상으로 하지 않고 완성 작품을 대상으로 평가하는 것은 어린이들에게는 가혹한 일이다.